발롱도르는 축구 선수들에게 주어지는 가장 권위 있는 개인 상 중 하나로 세계 최고의 선수에게 수여됩니다. 1956년 처음 시작된 이 상은 프랑스 축구 전문지 프랑스 풋볼이 주관하며 매년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주어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발롱도르의 의미, 역사 그리고 최다 수상자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발롱도르 의미와 역사
발롱도르(Ballon d'Or)는 프랑스어로 '황금공(Golden Ball)'을 뜻하며 축구에서 가장 뛰어난 개인 선수에게 수여되는 상입니다. 1956년부터 시작된 이 상은 당시 프랑스 풋볼의 기자들이 유럽 국적의 선수들만을 대상으로 선정하던 것이 시초입니다. 하지만 1995년부터 비유럽 선수도 유럽 리그에서 활약하면 수상 자격을 얻었고 2007년부터는 전 세계 모든 선수로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이 상은 오직 선수 개인의 기량과 한 해 동안의 활약을 바탕으로 선정됩니다. 수상자는 유럽 각국 기자들의 투표로 결정되며 최근에는 전 세계 각국 기자들이 참여하여 더욱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FIFA 올해의 선수상과는 다른 방식으로 운영되며 순수한 축구 실력과 활약을 중심으로 평가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2010년부터 2015년까지는 FIFA와 통합하여 'FIFA 발롱도르'라는 이름으로 시상되었으나 2016년부터 다시 독립적인 시상으로 돌아갔습니다. 이는 FIFA와 프랑스 풋볼 간의 협력 종료에 따른 결정이었습니다.
역대 수상자
발롱도르를 가장 많이 받은 선수는 아르헨티나의 리오넬 메시입니다. 그는 2023년까지 총 8회 수상하며 역대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 뒤를 이어 메시의 오랜 라이벌이자 세계적인 축구선수 호날두가 총 5회를 수상하며 역대 2위 수상 기록에 이름을 올리고 있습니다. 공동 3위로는 프랑스의 축구 전설 미셸 플라티니, 네덜란드와 바르셀로나 축구를 완성시킨 토탈풋볼의 창시자 요한 크루이프 그리고 네덜란드의 갈색 폭격기 마르코 판 바스턴이 3회 수상한 이력이 있습니다.
메시와 호날두는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 동안 서로 번갈아 가며 수상하며 축구계를 지배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모드리치가 2018년 그리고 벤제마가 2022년 발롱도르를 수상하며 메시와 호날두의 아성을 넘어 경쟁 구도가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차기 축구 황제
2024-25 시즌이 진행 중인 가운데 내년 발롱도르 수상 가능성이 높은 후보들을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 레알 마드리드 소속의 킬리안 음바페입니다. 그는 프랑스 대표팀과 클럽에서의 활약이 기대되는 선수입니다. 만약 레알 마드리드에서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차지한다면 더욱 강력한 후보가 될 것입니다. 그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는 맨체스터 시티의 괴물 공격수 엘링 홀란드는 2023년 맨체스터 시티의 트레블을 이끈 뒤에도 계속해서 뛰어난 득점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만약 맨체스터 시티가 2년 연속 챔스 우승을 한다면 유력한 수상 후보입니다. 더불어 주드 벨링엄 또한 2023-24 시즌 레알 마드리드에서 엄청난 활약을 펼치며 팀의 핵심 선수로 자리 잡았습니다. 유로 2024에서 잉글랜드가 준우승을 차지했고 2024-25 시즌 레알 마드리드의 우승 여부에 따라 수상 확률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영원한 축구 황제 리오넬 메시가 2025년 코파 아메리카에서 아르헨티나를 우승으로 이끈다면 9번째 발롱도르도 가능할지 모릅니다. 다만 현재 유럽 무대에서 뛰지 않는 점이 변수입니다.
2025년 발롱도르는 유럽 챔피언스리그와 대륙권 축구 대회 등 주요 대회 성적에 따라 결정될 것입니다. 과연 누가 새로운 황금공의 주인공이 될지 지켜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입니다.
발롱도르는 1956년부터 현재까지 축구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개인상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유럽 선수들만 받을 수 있었던 초기와 달리 현재는 전 세계 모든 선수에게 열려 있으며 메시가 8회 수상하며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5년 발롱도르는 음바페, 홀란드, 벨링엄 등의 신흥 스타들이 경쟁을 펼칠 것으로 예상되며 다가오는 시즌 활약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 앞으로 발롱도르를 차지할 차세대 스타는 누가 될지 기대해 봅시다.